태현님 노션 보시면, 백엔드 관련 참고할 자료 부탁드립니다.

모델 폴더 안의 자세분석 다트 파일 안에서 태현님이 쓰신 코드 봐도 잘 이해가 안됩니다.

AI_workflow.png

3page

2D1.jpg

2D1.jpg

(위 그림을 아래 그림처럼 형광펜으로 칠해주세요.)

Untitled

사용자가 갯수 세기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시작자세를 취하여야합니다. 시작 자세의 관절사이의 상관관계를 조건문으로 만들어 해당 조건이 된 경우부터 각도를 저장합니다.

ex) 팔굽혀펴기

사용자가 운동자세를 취하면 각도 저장을 시작하고, 사진에서처럼 형광펜으로 칠한 것(보라, 빨간색)을 threshold값으로 설정해서 threshold값보다 right_elbow 각도값이 크면 up state로, 작으면 down state로 구분합니다. 팔꿈치 외의 다른 각도값도 및 위치관계를 이용하여 갯수세는데에 사용합니다.

첫 번째 멘토링을 받기전(9/25), 저희가 classification을 이용하여 갯수 세는 모델을 구현하였고, 앱에 적용시켜 보았습니다. 모델을 학습시키기 위해 각 운동 분야의 up state 사진 300장, down state 사진 300장 등을 직접 촬영하고, 스크린샷을 찍어 data 수집을 하였습니다.

수집한 사진들을 mediapipe를 이용하여 landmark(관절)를 추출하여내고, 33개의 landmark의 위치 관계를 이용해 feature vector를 만들었습니다.Feature vector를 input으로 받아 up, down state를 classification 하는 LogisticRegression model을 학습시켰습니다.